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로 매몰됐던 작업자 1명이 결국 숨졌다. 소방당국은 함께 발견됐던 다른 매몰자 1명도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나머지 5명은 생사조차 확인되지 않고 있다.
김정식 울산 남부소방서 예방안전과장은 7일 새벽 브리핑을 통해 "어제 의식이 있었던 구조 대상자(44)가 구조 도중 심정지에 빠져 오늘 오전 4시 53분 사망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사망자는 전날 사고 발생 약 1시간 만에 구조물과 땅 사이 틈에 팔이 낀 채 발견됐다. 소방 구조대원들이 12차례 이상 직접 접근해 진통제를 투여하고 보온 조치를 했지만, 결국 숨을 거뒀다. 소방 지도의사는 혈전으로 인한 패혈전증, 전해질 이상, 내부 출혈 등을 추정 사인으로 밝혔다.

유일하게 생존 신호를 보내던 매몰자가 사망하면서 추가 붕괴 위험을 무릅쓰고 벌이던 구조 작업은 일단 중단됐고 구조대원들은 현장에서 철수했다. 붕괴 지점은 철근 등 구조물 잔해로 막혀 30m 이상을 파고들어야 하는 상황이라 구조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밤사이 잔해 속에서 손가락 일부로 추정되는 신체가 추가로 발견됐으나, 소방 당국은 "이미 발견된 2명과는 다른 인물로 추정되나 단정하기는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소방 당국은 음향탐지기, 열화상카메라, 내시경, 구조견 등을 동원해 실종된 5명에 대한 수색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붕괴한 5호기 보일러 타워 양옆에 있는 4·6호기 또한 추가 붕괴 우려가 있어, 중장비를 이용한 안정화 작업은 진동 위험 때문에 보류된 상태다.
이번 사고는 6일 오후 2시 2분께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높이 60m의 보일러 타워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당시 철거 작업을 하던 근로자 9명 중 2명은 사고 초기에 구조됐고 7명이 매몰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