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대중음악공연산업협회(이하 ‘음공협’)는 지난 22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소마미술관에서 '대중음악 공연산업 발전을 위한 1차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논의된 주요 내용으로는 서울시 공연장 부족으로 인한 수도권 외곽 공연 이전, 새 정부의 대규모 공연장 건립 등 공약 이행 계획, 공연장 대관·소음 등 운영 표준안 마련, 기존 체육시설의 공연 활용 한계, 암표 및 매크로 거래로 인한 시장 혼란 등 공연 산업 전반에 걸친 구조 개선 과제가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서울 공연장 부족, 수도권 대형 공연장은 대안이 될 수 있는가?’를 주제로 라이브네이션코리아 최윤순 이사가 발제를 맡아 해외 사례와 비교해 한국 공연 인프라의 부족을 지적하고, 정부·지자체의 공동 투자 및 제도 정비 필요성을 제안했다.
고양시 권민주 전문위원은 교통 인프라 확충 사례를 언급하며, 체육시설 중심 조례의 한계와 함께 문화공연 중심의 제도 개선을 제안했다. 이어 김현목 문화체육관광부 대중문화산업과장은 “정부는 5만 석 규모 공연장 건립을 포함한 인프라 확충 의지를 갖고 있으며, 대관·소음 기준 등 운영 표준안을 음공협과 함께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현재 대중음악 공연산업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공연장 부족 문제 외에도 기존 체육시설을 공연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제도적 장벽 암표 및 매크로 거래로 인한 티켓 시장의 혼란, 공연 유치를 위한 민관 협력 체계의 필요성 등 공연 업계 전반의 다양한 현안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으며, 언론사와 공연기획사를 비롯한 현장 관계자들의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실질적인 정책 제안과 개선 방향이 활발히 공유되었다.
예스24 관계자 역시 “공연 전날까지 전액 환불이 가능한 현재 환불 정책이 암표상에게 악용되고 있다”며 티켓 판매 및 환불체계를 포함한 거래 전반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모더레이터를 맡은 음공협 고기호 부회장은 “공연은 단순한 문화행사를 넘어 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민간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고 공공은 조율과 지원에 집중하는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음공협 이종현 회장은 “왜 서울에서만 공연하려 하는가”를 화두로 던지며, 지자체 장의 문화적 의지와 유연한 시설 활용, 공연 유치에 대한 적극적인 시야 확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싸이 전국투어 사례를 언급하며 공연 생태계의 개선과 관광 연계형 지역 공연 정책 보완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음공협은 이번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후속 세미나를 개최하고, 지자체와 지자체 및 업계와의 실무 협의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