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꼭 알아야 할 비염 증상과 관리법을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비염이라고 하면 맑은 콧물, 코막힘, 재채기를 떠올리지만 요즘에는 비염의 양상이 달라져 엄마들을 헷갈리게 한다. 아이가 코를 계속 그르렁거리는데 콧물은 흐르지 않고, 콧속을 들여다봐도 코가 부었거나 콧물이 차 있지 않다면?
낮에는 큰 불편함을 못 느끼고 증상이 심하지 않기 때문에 병원 갈 일이 아니라고 지나칠 수 있지만, 이는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하는 비염 증상이다. 이런 아이들은 아침에 일어났을 때나 밤에 자기 전에 유독 가래 끓는 기침을 하고 심하면 토하기까지 한다. 코 점막이 말라 코피를 자주 흘리기도 하고, 콧물이 코 안쪽에 생겨 목 뒤로 넘어가는 가래가 많이 생겨 캑캑거리기도 한다.
# 숨어버린 콧물, 원인은 몸 안팎의 열
요즘에는 아이들은 콧물을 많이 흘려 병원을 찾는 경우가 드물다. 따뜻하고 건조한 생활환경과 몸속 열을 만드는 식습관이 콧물을 마르게 하는 주요 원인. 가을·겨울에도 반소매를 입을 정도로 따뜻한 집 안에서 생활하다 보니 코 점막이 마르고 콧물이 코 안쪽에 생겨 목 뒤로 넘어가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주는 찬 음식도 문제다. 아이들은 과일, 치즈, 요구르트 등 냉장고에서 꺼낸 찬 음식을 먹으면 찬 기운이 코에서 목으로 넘어가는 부위를 자극해 콧물이 뒷쪽에 생기고, 음식물의 온도를 몸에 맞추기 위해 속열을 더 만들어낸다. 게다가 잠들기 전에 먹이는 야식이나 우유는 위장에 부담을 주고 속열을 만들 뿐만 아니라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은 콧물이나 가래 등 몸속 노폐물을 만들어 가래·기침을 더 심하게 한다.
# 더 늦기 전에 체질에 맞는 치료 시작해야
아이의 비염은 증상이 미미하고 쉽게 낫는 반면, 재발 가능성도 높고 축농증, 천식, 중이염 등 합병증을 동반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게다가 비염이 만성화하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산만해지며 입을 벌린 상태로 숨 쉬는 버릇이 지속되면 아이의 얼굴형까지 바뀔 수 있다. 숙면을 방해해 성장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이상 증후가 보인다면 전문의와 상의하여 근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 비염 예방하는 생활환경과 식습관
우선 가습기를 틀거나 빨래를 널어 입이나 코가 마르지 않도록 해야 한다. 날씨가 추우면 초저녁에 난방을 하여 실내 공기를 따뜻하게 한 후, 난방을 꺼서 아이 피부와 직접 닿는 바닥은 너무 덥지 않도록 맞춰준다. 식습관의 개선도 중요하다. 냉장고에서 바로 꺼낸 차가운 물이나 음식은 실온에 30분~1시간 정도 두었다가 냉기가 가시면 먹인다. 또 자기 전 2시간 정도는 공복 상태를 유지해 위장과 폐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몸속 열이 많은 아이는 쌀밥보다 차가운 성질의 보리밥이나 조밥을 먹이면 열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고기는 차가운 성질의 돼지고기, 오리고기가 좋으며 치커리, 상추, 미나리 등 녹색채소는 열을 식히고 진액(체액)을 보충해준다. 평소 제철 과일인 밤이나 감을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
(기사제공: 월간 앙쥬)
한경닷컴 bnt뉴스 김희정 기자 life@bntnews.co.kr
▶ ‘멋’이 아닌 ‘건강’을 위해 선글라스를?
▶ 주얼리, 심플해져도 괜찮지?
▶ 구혜선과 알렉스의 입맞춤!
▶ 애인의 동거 제안, 할까 말까?
▶ 남자, 결혼자금 5천만 원 “뉘집 개이름?”
▶ [이벤트]올 여름에 유행할 메이크업은?
▶ [행사안내] 제1회 PUCCA ART 공모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