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

한국은행 총재, 환율 폭등에 “젊은 세대 해외투자 유행처럼 번져”

이현승 기자
2025-11-28 14:39:40
기사 이미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출처: 연합뉴스)


환율이 1,400원대 후반에서 고공행진하는 와중에 외환당국이 '서학개미'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기획재정부는 27일 보도 설명자료를 내고 "정부는 환율 방어를 위해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추가 과세를 검토한 바 없다"고 밝혔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서학개미' 세제상 페널티 가능성에 "현재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면서도 "정책이라는 것이 상황 변화가 되면 언제든 검토하는 것이고 열려있다"고 말한 것을 두고 여러 해석이 나오자 진화에 나선 것.

해외주식 투자자는 연 250만원을 초과하는 양도차익에 22%(지방소득세 포함)의 세금을 내고 있다. 사실상 비과세 특혜를 받는 국내주식과 비교하면 이미 높은 세금을 부담하다 보니 추가 과세엔 반발이 클 수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원/달러 환율이 1,500원대로 진입할 우려에 "레벨(수치)에 대해서 걱정은 안 한다"면서 "지금 (환율이) 1,500원을 넘는다면 이는 한미 금리차나 외국인 때문이 아니고 단지 내국인들의 해외 주식 투자가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젊은 분들이 해외 투자를 많이 한다. 왜 이렇게 많이 하냐고 물어봤더니 '쿨해서'라고 답하더라"면서 "이런 것들이 유행처럼 번지는 면에서는 걱정이 된다. 이런 현상은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현상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총재는 또 "(환율 상승이) 외국인에 의해 주도된 것이라면 변화가 어렵겠지만, 우리(내국인)의 쏠림을 막아주면 빠르게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이는 현실적으로 국내 주식의 펀더멘털 매력이 떨어지는 본질적인 문제를 제쳐두고, 해외투자 행태 자체를 비판대에 올린 뉘앙스여서 부적절한 발언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기사 이미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출처: 연합뉴스)

한편 외환당국은 국민연금을 활용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

최근엔 국민연금과 직접 4자 협의체를 꾸려 외환시장 안정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국민연금 수익성과 외환시장 안정을 조화시키기 위한 방안이라고 명분을 내세웠다.

그러나 당장 치솟는 환율을 잡는 데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도 미지수다. 게다가 '노후자금 동원'이라는 비판도 피하기 쉽지 않다.

구윤철 부총리는 기자간담회에서 "환율 상승에 대한 일시적 방편으로 연금을 동원하려는 목적이 전혀 아니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창용 총재도 "(국민연금이) 해외로 돈을 많이 가져갈 때는 원화 가치 절하, 가지고 들어올 때는 절상이 발생한다"며 이어 "절하 국면에서는 원화 표시 수익률이 높아지지만, 장부상 수익률이 높다고 해서 노후 자산이 커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환 헤지 등으로 수익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현승 기자
bnt뉴스 라이프팀 기사제보 life@bn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