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민노총, 새벽배송 금지 제안

박지혜 기자
2025-10-29 07:18:29
기사 이미지
쿠팡 트럭 (사진=연합뉴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이 택배 노동자 보호를 명분으로 새벽배송 금지를 제안하면서 유통업계와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는 지난 22일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심야 배송을 금지하고, 주간 배송 체계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협의체는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지난달 출범했으며, 국토교통부와 주요 택배사들이 참여하고 있다.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여기서 도출된 합의는 정부 정책과 제도 개선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갖는다. 연말까지 최종 합의안이 나올 것으로 보이며, 새벽배송 금지안이 통과될 경우 내년부터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

2014년 쿠팡의 로켓배송 도입 이후 10년 넘게 성장해온 새벽배송 시장은 올해 약 15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2018년 5000억원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급격한 성장세다.

쿠팡 와우 회원 1500만명, 컬리 유료회원 160만명 등을 합치면 정기 이용자만 2000만명에 육박한다. 여기에 네이버, SSG닷컴, 오아시스마켓 등의 이용자까지 포함하면 실제 영향을 받는 소비자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맞벌이 가구를 중심으로 새벽배송은 이미 일상적인 쇼핑 방식으로 자리잡았다. 밤늦게 귀가한 뒤 온라인 주문만으로 다음날 아침 신선식품과 생필품을 받아볼 수 있는 편리함 때문이다.

업계의 타격도 상당할 전망이다. 쿠팡은 지난 10년간 물류센터 구축과 시스템 투자에 6조원 이상을 쏟아부었고, 2027년까지 3조원을 추가 투입해 전국 익일배송 체계를 완성할 계획이었다.

새벽배송을 주력으로 성장해온 컬리는 더욱 심각하다. 최근 네이버와 제휴해 배송 권역을 호남까지 확대하고 상장을 준비 중인 상황에서 사업 모델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

농가와 소상공인들도 영향을 피할 수 없다. 새벽배송 플랫폼과 직거래하거나 입점해있는 생산자들은 판로 축소를 우려하고 있다.

박지혜 기자 bjh@bn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