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

전국 부동산 시세,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

김진아 기자
2024-12-31 09:55:02
전국주택가격동향 조사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부동산 가격,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

전국 아파트 매매·전세 시장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12월 4주 차, 전국 아파트 매매 및 전세가격 동향 조사 결과, 아파트 매매가격은 평균 0.03% 하락했으며, 전세가격은 보합세(0.00%)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수도권이 보합에서 하락세로 돌아섰고, 지방은 하락폭이 다소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혼조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거래 위축과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전국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부동산 가격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 전국 평균 0.03% 하락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와 동일하게 0.03%의 하락폭을 유지했다. 수도권은 0.00%에서 -0.02%로 하락세로 전환했으며, 서울은 0.01% 상승폭을 유지했다. 지방은 -0.05%에서 -0.04%로 하락폭이 소폭 축소됐다. 특히 5대 광역시와 세종, 8개 도에서 모두 하락세를 기록했으나 하락폭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수도권에서는 서울이 0.01% 상승을 이어갔으나, 경기와 인천은 각각 0.02%, 0.10% 하락하며 전체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서울에서는 일부 재건축 단지에서 신고가 갱신 사례가 나타났지만, 대출 규제와 계절적 비수기의 영향으로 관망세가 이어졌다.

강남 11개구는 서초구(0.06%), 송파구(0.04%) 등이 상승세를 주도했으며, 강북 14개구에서는 용산구와 마포구가 각각 0.03% 상승하며 상승폭을 유지했다.반면 인천에서는 계양구와 남동구가 각각 0.15% 하락했으며, 미추홀구 역시 신규 입주 물량의 영향으로 하락했다. 경기도에서는 안양 동안구와 수원 영통구 등이 상승했으나, 광주시(-0.12%)와 용인 처인구(-0.11%)는 외곽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했다.

지방의 경우 하락세가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했다.

대구는 달성군과 서구를 중심으로 각각 0.15% 하락했으며, 부산에서는 중구와 연제구가 각각 0.11% 하락했다.전북 익산시는 신규 공급 예정 물량 영향으로 0.20% 하락하며, 지방 전체 하락폭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아파트 전세가격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보합세를 유지했으나, 지역별로는 상승과 하락이 엇갈리는 혼조세를 보였다. 수도권은 상승에서 하락세로 전환됐으며, 지방은 보합세를 유지했다.

전국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 지수 변동률, 부동산 시세

수도권: 상승에서 하락 전환

서울은 전세가격이 0.00%로 보합을 유지했으며, 학군지와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한 지역이 있는 반면 일부 지역은 입주 물량의 영향을 받아 하락했다.

강북 14개구에서는 광진구와 노원구가 각각 0.04% 상승했으나, 동대문구(-0.07%)와 강북구(-0.07%)는 하락세를 보였다.강남 11개구에서는 서초구와 강서구가 상승했으나, 구로구(-0.04%)와 동작구(-0.04%)는 하락하며 혼조세를 이어갔다.

인천은 0.06% 하락하며 하락폭이 확대됐다. 중구(-0.18%)와 서구(-0.12%)는 입주 물량의 영향을 받아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경기도는 오산시(0.08%)와 수원 장안구(0.08%)가 상승했으나 광명시(-0.14%)와 광주시(-0.13%)의 하락세로 전체적으로 보합으로 전환됐다.

지방에서는 대구와 대전이 각각 0.07%, 0.02% 하락했으나, 세종은 학군지와 정주 여건이 양호한 지역 위주로 0.04% 상승했다. 제주도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모두 각각 0.03% 하락하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아파트 전세가 지수 변동률 그래프, 부동산 시세

아파트 매매 및 전세 시장에서 여전히 관망세와 혼조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거래가 위축되는 모습이 뚜렷하다. 전문가들은 "내년 초 시장의 추가 하락 가능성에 대비한 심도 있는 시장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아파트 담보대출 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신한은행 기준 4.33~4.95%를 적용하고 있다.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와 부동산 가격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변동된다.

경제 상황은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주며, 경기 침체 기간에는 소득이 감소하고 신규 주택 구매나 투자가 줄어들어 수요가 감소하게 된다. 가격 하락 압력을 주지만, 경제가 성장하고 고용률이 상승할 때는 수요가 증가하여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은 금리가 낮을수록 대출이 유리해지므로 부동산 구매나 투자가 활성화되어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그러나 금리가 높아지면 대출 조건이 엄격해지고 부동산 투자의 경제성이 저하되므로 가격 하락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수요와 공급의 균형 또한 부동산 시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가격이 상승하고, 반대로 수요가 부족할 때는 가격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지역별로 수요와 공급의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도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부동산 시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세제 혜택, 대출 규제, 주택 공급 정책 등이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지역적 요인과 외부 요인도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지역의 인프라 개발, 교통 편의성, 학군 등이 주변 부동산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며, 자연 재해나 정치적 불안 등 외부 요인도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부동산 시장은 지속적으로 변동된다. 따라서 부동산 시장을 이해하고 투자할 때는 이러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파트 청약 신청과 주택 청약 신청, 아파트 시세, 주택 시세, 아파트 분양, 주택 분양 정보 등 자세한 정보는 한국부동산원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주택 실거래가 조회 등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