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

전국 부동산 시세,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 현황

김진아 기자
2024-12-10 11:20:01
전국주택가격동향 조사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부동산 가격,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4년 12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2% 하락하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반면, 전세가격은 0.02% 상승하며 상승폭이 확대된 모습이다.

전국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부동산 가격

매매가격 동향: 하락세 유지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와 같은 0.02% 하락을 기록하며 하락세를 멈추지 않고 있다. 수도권은 0.01% 상승하며 전주의 상승폭을 유지했고, 서울 역시 0.04% 상승으로 변동이 없었다. 그러나 지방은 0.05%에서 0.04%로 하락폭이 다소 축소된 양상을 보였다.

특히 지방에서는 세종(-0.09%), 대구(-0.12%), 부산(-0.06%) 등 주요 광역시와 도에서 하락세가 이어졌다. 대구 달성군(-0.19%)은 다사·화원읍 대단지 중심으로, 부산 해운대구(-0.13%)는 좌·중·우동 구축 단지를 중심으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충북(0.01%)은 상승폭을 유지하며 눈에 띄는 대조를 보였다.

서울의 경우, 강북권(0.03%)에서는 종로구(0.07%), 중구(0.06%), 광진구(0.06%) 등이 중소형 단지와 역세권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강남권(0.04%)에서도 강남구(0.12%)가 개포·논현동 재건축 단지 위주로 상승하며 강한 모습을 보였다.

경기도는 전반적으로 보합세(0.00%)를 유지했지만, 지역별로는 차이를 보였다. 김포시(-0.09%)와 안성시(-0.09%)는 미분양과 공급 물량 영향으로 하락했지만, 성남 중원구(0.15%)와 안양 만안구(0.13%)는 정주 여건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세를 기록했다.

전국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 지수 변동률, 부동산 시세

전세가격 동향: 상승폭 확대

전세가격은 전국적으로 0.02% 상승하며 전주(0.01%)보다 상승폭이 확대되었다. 수도권은 0.03% 상승으로 전주와 같았고, 서울도 0.02% 상승폭을 유지했다. 지방은 전주 보합(0.00%)에서 이번 주 0.01% 상승으로 전환됐다.

서울에서는 학군지와 선호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지속되었다. 강북권(0.03%)에서는 중구(0.07%)와 노원구(0.07%)가 각각 신당·황학동과 월계·중계동 주요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권(0.02%)에서는 서초구(0.07%)와 강남구(0.05%)가 학군지와 신축 단지 위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경기도는 0.04% 상승하며 전주(0.03%)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특히 여주시(0.20%)와 성남 중원구(0.17%)는 정주 여건이 양호한 단지를 중심으로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다.

지방에서는 세종(0.12%)의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세종시의 새롬·도담·보람동 중심 단지가 상승을 이끌며 전주 대비 0.06% 상승폭을 기록했다. 경남 창원 의창구(0.30%)도 북면과 중동 중심으로 상승하며 지방 상승세를 견인했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아파트 전세가 지수 변동률 그래프, 부동산 시세

아파트 담보대출 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신한은행 기준 4.33~4.95%를 적용하고 있다.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와 부동산 가격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변동된다.

경제 상황은 부동산 시장에 큰 영향을 주며, 경기 침체 기간에는 소득이 감소하고 신규 주택 구매나 투자가 줄어들어 수요가 감소하게 된다. 이는 가격 하락 압력을 주지만, 경제가 성장하고 고용률이 상승할 때는 수요가 증가하여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은 금리가 낮을수록 대출이 유리해지므로 부동산 구매나 투자가 활성화되어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그러나 금리가 높아지면 대출 조건이 엄격해지고 부동산 투자의 경제성이 저하되므로 가격 하락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수요와 공급의 균형 또한 부동산 시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면 가격이 상승하고, 반대로 수요가 부족할 때는 가격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지역별로 수요와 공급의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의 변동성도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부동산 시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세제 혜택, 대출 규제, 주택 공급 정책 등이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지역적 요인과 외부 요인도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지역의 인프라 개발, 교통 편의성, 학군 등이 주변 부동산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며, 자연 재해나 정치적 불안 등 외부 요인도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부동산 시장은 지속적으로 변동된다. 따라서 부동산 시장을 이해하고 투자할 때는 이러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파트 청약 신청과 주택 청약 신청, 아파트 시세, 주택 시세, 아파트 분양, 주택 분양 정보 등 자세한 정보는 한국부동산원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주택 실거래가 조회 등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