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부동산원이 2월 3주차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 가격과 전세 가격 동향을 발표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은 0.05% 하락했다.
최근 5대 광역시와 세종, 그리고 8개 도 지역에서 부동산 가격이 일부 하락하고 있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대구에서는 달성군에서 논공과 화원읍을 중심으로 가격이 하락하였으며, 중구는 대봉과 남산동을 중심으로 하락했다는 데이터가 나타났다. 부산에서도 해운대구는 재송과 중동을 중심으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으며, 수영구에서는 망미와 민락동이 주로 하락했다는 점이다.
세종시에서도 부동산 시장의 하락세가 나타났는데, 도담, 어진, 다정동이 주로 그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8개 도에서는 충남의 홍성군에서는 홍성과 홍북읍을 중심으로, 서산시에서는 읍내동과 성연면이 주로 하락했다는 점이다.
부동산 가격이 약간 하락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대구의 경우 달성군은 다사와 유가읍을 중심으로, 수성구는 범어와 만촌동을 중심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부산에서는 북구는 화명과 덕천동을 중심으로, 해운대구는 좌동과 재송을 중심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수영구에서는 남천과 민락동이 하락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중구는 수정과 범일동을 중심으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0.03% 하락했다. 급매물 위주로 매수문의 존재하나 매도희망가격간 격차가 좁혀지지 않아 관망세가 지속중인 상황속에서 지역별 상승‧하락 혼재되는 거래속에서 간헐적인 급매물 거래 영향으로 하락세를 지속했다.
강남 11개구 아파트 매매 가격은 0.02% 하락했다. 송파구(0.01%)는 단지별 상승‧하락 혼재되는 상황에서 상승 전환되었으나, 구로구(-0.08%)는 신도림‧구로동주요단지 위주로, 강서구(-0.05%)는 화곡‧염창동 위주로, 서초구(-0.05%)는 잠원‧서초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다.
인천 아파트 매매 가격은 0.02% 하락했다. 부평구(0.01%)는 직주근접성 양호한 청천‧산곡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중구(-0.19%)는 운남‧신흥동 위주로, 계양구(-0.05%)는 효성‧작전동 구축 위주로, 동구(-0.05%)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송림‧송현동 위주로, 남동구(-0.02%)는 간석‧구월동 위주로 하락했다.
경기 아파트 매매 가격은 0.06% 하락했다. 고양 덕양구(0.18%)는 교통호재 영향 있는 도내‧행신동 위주로, 여주시(0.04%)는 정주여건 양호한 현암동 위주로 상승했으나, 안양 동안구(-0.16%)는 비산‧호계동 위주로, 과천시(-0.16%)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 중앙‧별양동 위주로, 안성시(-0.15%)는 옥산동‧공도읍 위주로, 고양 일산서구(-0.14%)는 덕이‧주엽‧대화동구축 위주로, 시흥시(-0.14%)는 배곧‧정왕동 위주로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 가격은 0.04% 상승했다. 매매시장 관망세 장기화로 인해 매매대기 수요가 전월세 수요로 지속적으로 전환되며 지역내 학군‧신축 대단지 등 선호단지 위주로 매물 부족하고 상승거래 발생하는 등 상승세를 지속했다.
강남 11개구 아파트 전세 가격은 0.02% 상승했다. 영등포구(0.07%)는 신길‧당산동 대단지 위주로, 동작구(0.06%)는 흑석‧상도동 준신축 위주로, 양천구(0.05%)는 목‧신정동 주요단지 위주로, 강동구(0.04%)는 성내‧ 강일동 위주로, 구로구(0.03%)는 구로‧개봉동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 아파트 전세 가격은 0.08% 상승했다. 미추홀구(-0.02%)는 관교·도화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중구(0.14%)는 신흥동1가·운서·중산동 위주로, 서구(0.11%)는 청라· 심곡동 위주로, 연수구(0.11%)는 청학·송도동 위주로, 부평구(0.08%)는 갈산·부평·삼산동 위주로, 남동구(0.06%)는 간석·만수동위주로, 동구(0.04%)는 만석·송현동 위주로 상승했다.
경기 아파트 전세 가격은 0.07% 상승했다. 안성시(-0.17%)는 금산·가사동 위주로, 파주시(-0.16%)는 검산· 아동동 위주로, 과천시(-0.11%)는 부림·중앙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수원 영통구(0.26%)는 영통·하·망포동 위주로, 부천 오정구(0.25%)는 고강·원종동 위주로, 고양 덕양구(0.22%)는 토당·행신· 화정동 위주로 상승했다.

아파트 담보대출 금리, 주택 담보대출 금리는 기업은행 기준 3.63~4.52%를 적용하고 있다.
아파트 청약 신청과 주택 청약 신청, 아파트 시세, 주택 시세, 아파트 분양, 주택 분양 정보 등 자세한 정보는 한국부동산원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주택 실거래가 조회 등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bnt뉴스 라이프팀 기사제보 life@bn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