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방송되는 SBS ‘뉴스토리’에서는 붕괴냐, 생존이냐, 기로에 서 있는 한국 영화계의 현실을 조명하고, 한국 영화가 다시 살아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짚어본다.
영화관에 가면 ‘극장의 유령’을 만날 수 있다?
비상등 켜진 한국 영화계
하지만 요즘 한국 영화계의 현실은 암담하기만 하다. 코로나 직전인 2019년만 해도 한국은 1인당 연평균 영화 관람 횟수가 4.37회로 전 세계 1위를 기록한, 그야말로 ‘영화광들의 나라’였다. 1천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도 여러 편 나올 정도였지만 지금은 완전히 달라졌다. 극장을 찾는 관객이 줄면서 관람 횟수 순위는 8위로 떨어졌고, 한 해 제작되는 영화 편수도 팬데믹 이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이러다 보니 영화에 대한 투자도 급격히 움츠러들고 있다. 돈 될 것 같은 영화 아니면 유명 감독들조차 투자받는 게 하늘의 별 따기 수준이라고 한다. 독립영화계는 더 어려울 수밖에 없다. 투자사 지원이 씨가 마르다 보니 한국영화진흥위원회의 지원금을 받기 위한 경쟁은 두 배 이상 치열해졌다고 한다.
‘볼만한 한국 영화가 없다?’ 그 이유는…
이렇게 외부 환경이 달라졌는데도 극장들은 오히려 영화 티켓값을 수차례 올리며 관객들의 발길을 더 멀어지게 만들었다. 관객이 줄자 투자사들은 흥행 가능성이 높은 영화에만 투자를 하게 됐고, 그 결과 비슷한 영화만 반복적으로 제작됐다. 결국 관객들은 ‘볼만한 영화가 없다’며 극장을 더 찾지 않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 것이다.
과연 ‘한국 영화’가 다시 살아날 수 있는 해법이 있는지 29일 오전 8시에 방송되는 SBS ‘뉴스토리’에서 알아본다.
한효주 기자
bnt뉴스 연예팀 기사제보 star@bnt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