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일인 오늘(13일) 날씨는 전국이 대체로 맑겠으나, 충청권남부와 남부지방은 가끔 구름 많겠고, 제주도는 대체로 흐리겠다.
이날 새벽(00~06시)부터 전남권에, 오전(06~12시)부터 전북과 경남권에, 오후(12~18시)부터 경기남부, 강원남부, 충청권, 경북권에 비가 내리겠고, 밤(18~24시)부터 서울을 제외하고 그 밖의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가 내리겠다.
한편, 늦은 오후(15~18시)부터 밤(18~24시) 사이 수도권(경기동부.남부 제외)에는 0.1mm 미만의 빗방울이 떨어지는 곳이 있겠다. 태풍 '씨앗'인 11호 열대저압부의 영향으로 제주도와 경남권에 내리는 비는 다음 날 새벽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남부지방과 강원동해안을 중심으로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강한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
13~14일 주요 도시 예상 강수량은 △(수도권) 서울.인천.경기: 10~40mm/ (14일) 서해5도: 5~10mm △(강원도) 강원영서: 10~40mm/ 강원영동: 20~60mm(많은 곳 80mm 이상) △(충청권) 대전.세종.충남, 충북: 20~60mm △(전라권) 광주.전남, 전북: 20~60mm(많은 곳 지리산 부근, 전남동부남해안 80mm 이상) △(경상권)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30~80mm(많은 곳 부산.울산.남해안, 경남북서내륙, 경북동해안 100mm 이상)/ 울릉도.독도: 20~60mm △(제주도, 12일부터) 제주도 : 30~80mm(많은 곳 산지.중산간.동부.남부 100mm 이상)내외다.
한반도를 뒤덮은 열돔 현상이 막바지에 달하면서 35도 안팎의 불볕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당분간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폭염이 이어지겠고, 서쪽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밤사이 기온이 25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현상인 열대야도 나타나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19~25도, 낮 최고기온은 28~35도가 되겠다.
전국 주요 도시별, 지역별 아침 최저 기온은 △서울 25도 △인천 25도 △춘천 22도 △강릉 24도 △대전 23도 △대구 22도 △전주 24도 △광주 25도 △부산 24도 △제주 24도 △울릉도 독도 22도다.
미세먼지 농도는 원활한 대기 확산으로 전 권역이 '좋음' 수준을 보이겠다.
14일까지 달의 인력이 강해 바닷물의 높이가 높은 기간으로, 만조 시 저지대 침수 가능성이 있어 주의해야겠다.

월요일인 내일(14일) 날씨는 전국이 가끔 구름 많겠고 오후(12~18시)에 경상권내륙에는 소나기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20~24도, 낮 최고기온은 27~34도가 되겠다.
15일(화)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어 전국이 구름많겠고, 아침 최저기온은 21~25도, 낮 최고기온은 30~34도가 되겠다.
16일 수도권·강원 영서 많은 비
기상청 주간날씨 예보에 따르면 16일(수) ~ 17일(목)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어 전국이 대체로 흐리겠고, 기압골의 영향으로 16일(수)~17일(목) 2025년 장마전선 영향으로 수도권과 강원영서에 비가 내리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22~24도, 낮 최고기온은 28~33도가 되겠다.
18일(금) ~ 22일(화) 고기압의 가장자리에 들어 전국이 대체로 흐린 날이 많겠고, 기압골의 영향으로 18일(금) 충청권과 남부지방, 제주도에 비가 내리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23~26도, 낮 최고기온은 29~34도가 되겠다.
이번 예보기간에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최고체감온도가 33도 내외로 올라, 폭염이 지속되고 열대야가 나타나는 곳이 많겠으니, 건강 관리에 각별히 유의해야겠다.
또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 위치와 우리나라 주변 기압계 변화에 따라 강수지역과 시점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겠으니, 앞으로 발표되는 최신 예보를 참고해 줄 것을 기상청은 당부했다.

한편, 2025년 태풍 5호로 발달할 것으로 보이는 10호 열대저압부가 11일 발생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 열대저압부는 12일 오후 3시 태풍으로 발달해 일본 도쿄 남쪽 약 1080km 부근해상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했다.
태풍 나리는 이후 정북진 한 후 14일께 일본의 수도인 도쿄 및 수도권 간토 동쪽 부근해상에 위치할 전망이다.
이후 태풍 나리는 북동진하며 16일께 삿포로 북동쪽을 지나며, 온대저기압으로 변질, 소멸할 것으로 보인다.
2025년 태풍 5호 나리는 대한민국이 제출한 이름으로, 백합의 순우리말이다.

또한, 제주에 폭염 특보가 해제된 가운데, 중국 상하이 해상에서 태풍의 '씨앗'인 11호 열대저압부가 발생해 향후 진로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 열대저압부는 오늘(13일) 낮 서귀포 남쪽 220킬로미터 해상으로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
11호 열대저압부 북상과 함께 한반도에는 많은 수증기가 유입되면서 제주와 남부 지방에는 최대 100mm 이상의 호우가 쏟아지겠다.
기상청은 열대저압부가 36시간 이내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될 것으로 보인다며, 태풍으로 발달할 확률은 낮게 보고 있다.
김진아 기자
bnt뉴스 라이프팀 기사제보
life@bn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