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꼬리에꼬리를무는그날이야기’ 숭례문 방화사건(꼬꼬무)

이지은 기자
2024-11-21 07:20:02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이야기’ 숭례문 방화사건 (꼬꼬무) SBS

숭례문 화재의 목격자들, 그날의 진실과 슬픔

2008년 2월 10일, 설 연휴의 마지막 날이었던 일요일 저녁, 대한민국 국보 제1호 숭례문에 치명적인 화재가 발생해 전 국민에게 충격을 안겼다. 서울 도심 한복판에 위치한 숭례문은 610년 동안 굳건히 서 있으며 한국 역사를 상징하는 소중한 문화유산이었다. 하지만 그날 밤, 역사와 전통의 상징이었던 숭례문은 불길 속에 무너져내렸다.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꼬꼬무)’ 는 이번 주 방송을 통해 당시의 긴박했던 현장과 이 비극적인 사건 속에서 싸웠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조명한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이야기’ 숭례문 방화사건 (꼬꼬무) SBS

수상한 남자와 첫 번째 목격자

‘어? 저게 뭐야... 뭐 하고 있는 거야 저거?’

화재 당일, 서른 살의 회사원 이재승 씨는 설 연휴에도 불구하고 업무를 마치고 저녁 8시 반쯤 회사에서 나왔다. 그는 평소처럼 버스를 타고 집으로 돌아가던 길에 숭례문 앞을 지나가며 무언가 이상한 장면을 목격했다고 했다. 그가 본 것은 사다리를 타고 숭례문 담벼락을 올라가고 있는 머리가 희끗희끗한 한 남자의 모습이었다. 그는 의아한 마음으로 잠시 그 장면을 바라보다 버스가 지나가면서 그 남자를 더 이상 볼 수 없었다. 그로부터 약 5분 뒤, 숭례문 앞에서 신호 대기 중이던 한 택시기사는 갑작스럽게 숭례문에서 연기가 치솟는 모습을 목격했고, 즉시 119에 신고했다.


긴박했던 화재 현장

“화재출동, 화재출동. 남대문 화재 발생, 남대문 화재 발생!”

신고를 접수한 중부소방서는 화재 출동 지령을 받고 긴급히 출동했다. 신고 접수 후 7분 만인 저녁 8시 57분, 소방대원들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 이미 상황은 심각한 상태였다. 숭례문 내부 2층은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연기가 자욱했고, 현장에 먼저 도착한 회현 119안전센터 대원들이 초동 대응에 나서고 있었다. 소방대원들은 즉시 각종 장비를 들고 내부로 진입해 진화 작업을 시작했으나, 화재는 예상보다 더 깊고 복잡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오용규 대원은 천장에서 계속 연기가 나오는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천장 내부에 숨어 있는 불씨가 진화되지 않고 계속 연기를 내뿜고 있었던 것이다.

“장화가 절반 이상 찰 때까지 물이 흥건하더라고요.

그렇게 많은 물을 방수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연기가 나오니까 이상하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이야기’ 숭례문 방화 (꼬꼬무) SBS

지키고 싶었지만 지킬 수 없었던 숭례문

“저거 적심에 불이 붙은 거야!!

빨리 지붕 깨야 해!!”

소방대원들은 천장을 부수고 내부의 불씨를 찾아 진압하려 했지만, 작업은 쉽지 않았다. 천장을 이루는 서까래들 사이에 숨어 있는 불씨는 쉽게 물이 닿지 않았고, 소방수는 천장 내부로 침투하지 못했다. 외부에서는 지붕 기와를 부수고, 내부에서는 천장을 깨려는 작업이 동시에 진행됐으나, 이마저도 사람의 힘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던 중, 연기만 나던 숭례문에서 갑작스레 거대한 불길이 솟아오르며 상황은 더욱 악화됐다. 소방대원들은 절박하게 작업을 이어갔지만, 숭례문은 끝내 불길에 휩싸이며 붕괴하고 말았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이야기’ (꼬꼬무) 숭례문 방화사건 SBS


사건 이후, 사람들의 슬픔과 분노

그날의 비극은 전 국민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 문화재를 지키기 위해 헌신했던 사람들과, 사건의 현장에서 이를 지켜본 시민들은 무력감과 슬픔에 잠겨야 했다. 뮤지컬 배우 최정원은 숭례문 화재 뉴스를 보며 자신이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듯한 아픔을 느꼈다고 고백했다. 배우 진기주는 “소중한 것이 무너지는 순간”을 떠올리며 눈물을 참지 못했고, 가수 적재는 숭례문에 방화를 저지른 범인의 행동에 분노하며 현장에서의 노력을 회상했다.


610년 역사의 붕괴와 남겨진 메시지

숭례문은 단순히 오래된 건축물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역사를 담은 상징이었기에 그 상실감은 더욱 컸다. 하지만 화재 현장에서 마지막까지 국보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이 비극 속에서도 잔잔한 감동과 메시지를 남긴다.

이번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이야기’ (꼬꼬무) 방송은 단순히 화재 사건의 경위를 다루는 것을 넘어, 숭례문 화재를 통해 우리가 잃어버린 소중한 문화유산의 의미와 이를 지키려 했던 사람들의 노력을 조명한다는 점에서 큰 기대를 모은다. 목격자와 소방대원의 생생한 증언은 당시 상황의 절박함과 비극의 무게를 고스란히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역사적 상징물을 잃은 국민적 상실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메시지가 담긴 이야기는 시청자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길 것이다. 숭례문의 붕괴가 단순한 화재 사건이 아닌, 우리 사회가 문화유산을 어떻게 바라보고 지켜야 할지에 대한 성찰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이야기’ (꼬꼬무) 시즌3는 이번 주 방송을 통해 숭례문이 무너진 그날, 문화재를 지키기 위해 싸운 사람들의 생생한 증언과 그들의 희생을 조명한다. 11월 21일 목요일 밤 10시 20분,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이야기’ 방송시간이 기다려지게 만든다.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이야기’ (꼬꼬무)는 2008년 대한민국 국보 제1호 숭례문 화재 사건을 중심으로 그날의 긴박했던 상황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조명한다. 설 연휴 마지막 날 밤, 숭례문에서 발생한 치명적인 화재는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겼으며, 목격자들의 증언과 소방대원들의 필사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숭례문은 끝내 붕괴하고 말았다. 숭례문 화재는 610년 역사를 상징하는 문화유산이 불길 속에서 무너진 참혹한 사건으로, 당시 현장에서 목격한 시민들의 슬픔과 분노, 그리고 이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사람들의 헌신이 뭉클한 감동을 전한다. 이번 방송은 숭례문 붕괴의 진실과 그날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으로 꾸며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