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y

금시세(금값) 2일 0.496%↑

김진아 기자
2024-04-02 09:24:56
오늘의 금시세 금값시세 (현재 금값 골드바,24K,18K,14K)

금값과 은값이 상승하여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낮은 수치가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가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 물가 상승률이 둔화될 수 있다. 미국 경제가 물가 안정세를 보이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면 경제의 성장률이나 소비자 신뢰도가 하락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경기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소식이 금값과 은값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와 유럽의 주식 시장은 혼합된 모습을 보이고, 미국 주식 시장은 상승세를 보이며 최고치에 가까운 수준을 유지했다. 세계 경제가 경기 침체 및 경제 불안정성과 싸우고 있는 가운데, 안전자산인 금은 더욱 관심받고 있다. 또한 중국의 제조업 활동을 나타내는 구매자관리지수(PMI) 지수가 상승하여 확장세를 보였으며, 중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더 많은 정보는 기사 하단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금시세 닷컴 화요일인 2일 기준, 순금 한 돈은 팔때 370,000 원, 살때 412,000 원에 거래되고있다. (Gold24K-3.75g)

18K 금시세(금값)는 팔때 273,000 원, 살때 314,000 원에 거래되고 있다.

14K 금시세(금값)는 팔때 212,000 원, 살때 245,000 원에 거래되고 있다.

백금은 팔 때 141,000 원, 살 때 149,000 원에 거래할 수 있다. (Platinum-3.75g)

은은 팔 때 3,850 원, 살 때 4,100 원에 거래할 수 있다. (Silver-3.75g)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오늘의 금시세 2일 국내 금시세는 상승했다.

2024년 4월 2일 기준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2일 순금 1돈(Gold 24k-3.75g) 살때 금가격, 417,000원(VAT포함)이다.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순금 1돈(Gold 24k-3.75g) 내가 팔때 금가격, 367,000원(VAT포함)이다.

18k 금시세는 살때 제품시세를 적용하고, 팔때 269,700원이다.

14k 금시세는 살때 제품시세를 적용하고, 팔때 209,100원이다.

백금시세는 살때 172,000원이며, 팔때 129,000원이다.

은시세는 살때 4,730원이며, 팔때 3,470원이다.

오늘 금값시세, 금값 추이 ©신한은행(오늘의금시세, 국제 금가격, 금값, 금값시세한돈)

신한은행에 따르면 오늘 2일 09:19:44 21회차 현재 고시기준 국내 금시세(금값)는 순금(24K) 시세는 1g당 97,953.53 원으로 이전 금시세(금값)인 97,469.75원 보다 483.78원 (등락률 +0.496%) 상승했다.

한돈이 3.75g인 것을 감안하면 1돈당 367,326원이다. (Gold24k-3.75g)

국제 금시세(금값)는 이날 09시 19분 현재 기준 트로이온스(T.oz, 약31.1g)당 2,249.04 달러다.

현재 국제 금 가격은 1일 국제 금값시세대비 +0.511% 변동하여 T.oz(약31.1g)당 11.44달러(등락률 +0.511%) 상승했다.

이날 현재 시간 기준 국내 가격은 상승했고, 국제 가격은 상승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09시 19분 기준 1354.80원이다.(매매기준율, 원/달러 환율)

달러화 강세와 약세, 글로벌 중앙은행의 금 매입,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과 FOMC 회의 내용, 전쟁 등이 금 가격 변화에 큰 영향을 준다.

다음은 금시세(금값) 전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요약했다.

2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도구에 따르면 미국 현지시간 2024년 5월 1일 FOMC회의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인하 할 확률을 0%로 전망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도구는 2024년 6월 12일에 금리를 인하 할 확률은 약 61%로 전망했다. 2024년 7월 31일 금리 인하 가능성은 약 74% 수준이다.

금값과 은값이 상승하여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가 예상보다 낮은 수치가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가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 물가 상승률이 둔화될 수 있다. 미국 경제가 물가 안정세를 보이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면 경제의 성장률이나 소비자 신뢰도가 하락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경기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소식이 금값과 은값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와 유럽의 주식 시장은 혼합된 모습을 보이고, 미국 주식 시장은 상승세를 보이며 최고치에 가까운 수준을 유지했다. 세계 경제가 경기 침체 및 경제 불안정성과 싸우고 있는 가운데, 안전자산인 금은 더욱 관심받고 있다. 또한 중국의 제조업 활동을 나타내는 구매자관리지수(PMI) 지수가 상승하여 확장세를 보였으며, 중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중국 국가통계국(NBS)은 3월 중국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가 50.8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3월 중국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가 50.8을 기록하며, 2월의 49.1에서 상승했다. 이는 6개월만에 50을 넘어선 상승세이다. 중국의 3월 비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는 53.0을 기록해, 2월의 51.4에서 상승했다. 중국의 제조업 부문이 예상치를 뛰어넘는 회복세를 보이면서 분석가들은 이러한 성장세가 기업 신뢰도 상승, 소비 신뢰 증가 등 경제적 이점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의 서비스 및 건설 부문도 증가세를 보이며, 이로 인해 전반적인 경제가 안정을 되찾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중국은 여전히 정부 부채 문제와 부동산 경기 침체, 높은 청년 실업률 등 여러 어려움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분석가들은 중국이 향후 몇 년 동안 경기 침체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

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미국의 총부채는 34조달러를 넘어섰다. 2024년에는 이자 지급이 87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재정 관리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경제적 불안정성 등의 원인으로 2022년 이후 중앙은행들은 금 비중을 늘리는 데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의 제재와 같은 지정학적 위험으로 인해 중앙은행들이 달러 확보를 줄이고 금을 확보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금융 시장에서 금은 안전자산으로서의 역할, 특히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가치가 더욱 오르고있다. 세계 금협회(WGC)는 금에 대한 전략적 자산으로서의 역할에 관한 보고서에서 "금은 어떠한 책임도 없는 고유 한 유동성 자산으로, 신용 리스크가 없으며 희소하며, 역사적으로 가치를 유지해왔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금은 투자, 안전 자산, 금 보석 및 기술 구성 요소로서 다양한 수요를 누리고 있다"라고 덧붙이며, 금의 매력에 대해 설명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최근 발표된 2월 미국 개인소비지출(PCE) 지수에 대해 연준의 기대에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금리 인하를 결정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을 고수했다. 미 상무부는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 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8%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달 상승률인 2.9%에 비해 0.1%포인트 둔화한 수치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파월 의장은 이에 대해 "지난해 하반기의 수치만큼 낮지는 않지만 우리 기대와 거의 일치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파월 의장은 "과잉으로 반응할 일은 없다"면서도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또한 인플레이션율이 둔화되는 것을 확인한 후에야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경제가 견조한 상태를 유지하며,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고 신중하게 시기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 시장에서 금은 안전자산으로서의 역할, 특히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가치가 더욱 오르고있다. 세계 금협회(WGC)는 금에 대한 전략적 자산으로서의 역할에 관한 보고서에서 "금은 어떠한 책임도 없는 고유 한 유동성 자산으로, 신용 리스크가 없으며 희소하며, 역사적으로 가치를 유지해왔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금은 투자, 안전 자산, 금 보석 및 기술 구성 요소로서 다양한 수요를 누리고 있다"라고 덧붙이며, 금의 매력에 대해 설명했다.

금시세(금값) 전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는 매일 업데이트하고있다.

bnt뉴스 라이프팀 기사제보 life@bn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