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금시세(금값) 6일 사상 최고가 경신

김진아 기자
2024-03-06 09:00:42
오늘의 금값시세 © 금시세 닷컴(현재 금값 골드바,24K,18K,14K)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국내 금 시장은 1g당 91,000원을 상회하고 있다. 시장은 미국 경제의 부채 리스크와 금리 인하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하고, 안전자산으로서 금에 대한 선호가 커진 것으로 분석했다. 국제 금 시장은 2100달러 선을 넘었고 현재는 상승률이 둔화되었으며, 국내 금 시장도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다.  오늘 시카고상품거래소(CME)는 2024년 6월 12일에 금리를 0.25%p 인하 할 확률은 59.3%로, 0.5%p 인하 확률은 12.9%로 전망했다.

금시세 닷컴 수요일인 6일 기준, 순금 한 돈은 팔때 339,000 원, 살때 383,000 원에 거래되고있다. (Gold24K-3.75g)

18K 금시세(금값)는 팔때 249,500 원, 살때 281,500 원에 거래되고 있다.

14K 금시세(금값)는 팔때 194,500 원, 살때 219,500 원에 거래되고 있다.

백금은 팔 때 135,000 원, 살 때 144,000 원에 거래할 수 있다. (Platinum-3.75g)

은은 팔 때 3,600 원, 살 때 3,900 원에 거래할 수 있다. (Silver-3.75g)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오늘의 금시세 6일 국내 금시세는 상승했다.

2024년 3월 6일 기준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6일 순금 1돈(Gold 24k-3.75g) 살때 금가격, 386,000원(VAT포함)이다.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순금 1돈(Gold 24k-3.75g) 내가 팔때 금가격, 335,000원(VAT포함)이다.

18k 금시세는 살때 제품시세를 적용하고, 팔때 246,200원이다.

14k 금시세는 살때 제품시세를 적용하고, 팔때 190,900원이다.

백금시세는 살때 161,000원이며, 팔때 125,000원이다.

은시세는 살때 4,400원이며, 팔때 3,280원이다.

오늘 금값시세, 금값 추이 ©신한은행

신한은행에 따르면 오늘 6일 09:32:25 26회차 현재 고시기준 국내 금시세(금값)는 순금(24K) 시세는 1g당 91,363.34 원으로 이전 금시세(금값)인 91,360.68원 보다 2.66원 (등락률 +0.003%) 상승했다.

한돈이 3.75g인 것을 감안하면 1돈당 342,613원이다. (Gold24k-3.75g)

국제 금시세(금값)는 이날 09시 32분 현재 기준 트로이온스(T.oz, 약31.1g)당 2,126.93 달러다.

현재 국제 금 가격은 5일 국제 금값시세대비 +0.063% 변동하여 T.oz(약31.1g)당 1.34달러(등락률 +0.063%) 상승했다.

이날 현재 시간 기준 국내 가격은 상승했고, 국제 가격은 상승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09시 32분 기준 1336.20원이다.(매매기준율, 원/달러 환율)

달러화 강세와 약세, 글로벌 중앙은행의 금 매입,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과 FOMC 회의 내용, 전쟁 등이 금 가격 변화에 큰 영향을 준다.

다음은 금시세(금값) 전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요약했다.

6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따르면 미국 현지시간 2024년 3월 20일 FOMC회의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인하 할 확률을 3.0%로 전망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는 2024년 5월 1일에 금리를 0.25%p 인하 할 확률은 21.0%로, 0.5%p 인하 확률은 0.6%로 전망했다.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국내 금 시장은 1g당 91,000원을 상회하고 있다. 시장은 미국 경제의 부채 리스크와 금리 인하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하고, 안전자산으로서 금에 대한 선호가 커진 것으로 분석했다. 국제 금 시장은 2100달러 선을 넘었고 현재는 상승률이 둔화되었으며, 국내 금 시장도 상승률이 둔화하고 있다. 오늘 시카고상품거래소(CME)는 2024년 6월 12일에 금리를 0.25%p 인하 할 확률은 59.3%로, 0.5%p 인하 확률은 12.9%로 전망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3월 FOMC 회의를 앞두고 통화정책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시장은 기준금리가 올해에 지속적으로 내려가게 될 것으로 전망했지만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를 빠른 시일 내에 내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파월은 "경제가 전반적으로 예상대로 진행된다면, 올해 어느 시점에서 긴축 사이클의 제동을 풀기에 적절할 것이다. 그러나 경제 전망은 불확실하며, 우리의 2% 인플레이션 목표에 대한 지속적인 진전은 보장되지 않는다."라며 신중한 입장을 고수했다. 금 시장은 예상과 일치하는 파월의 발언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파월 의장은 "정책의 제약을 너무 일찍, 너무 많이, 풀면 인플레이션에서 본 진전이 반전될 수 있으며, 결국 인플레이션을 2%로 되돌리기 위해 더 타이트한 정책이 필요할 수 있다. 동시에, 현재의 높은 금리 수준을 너무 늦게 혹은 너무 적게 풀면 경제 활동과 고용에 불필요하게 약화를 가져올 수 있다. 정책 금리의 목표 범위에 대한 어떠한 조정을 고려할 때에는 수입 데이터, 진화하는 전망, 그리고 리스크 균형을 주의 깊게 고려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또한, 파월 의장은 금리 조정으로 인한 미국의 경제 위험과 정부 부채 문제를 지적했다.

중국 인민은행이 작년 사들인 금이 225톤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외환보유고에서 금의 비중은 4.3%로 증가했다. 중국 부자들은 경기침체에 실망하며 금을 대거 구매하고, 민간 수요는 630톤에 이르렀다. 중국은 금 시장에서 눈에 띄는 주요 구매자 중 하나이며, 중국뿐만 아니라 신흥국의 중앙은행들이 달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금을 많이 구매하고 있다. 이는 최근 금값 상승의 큰 요인으로 꼽힌다. 일부 전문가들은 금 시장은 이미 충분히 상승했고, 앞으로는 비트코인과 주식 등으로 투자금이 이동할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최근에는 금과 비트코인의 모두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시장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를 6월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약 70%의 확률로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기준금리를 인하한다면 미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고 금 시장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미래에 금 시장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은 시장도 상승하여 두 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장은 전 세계 주요 중앙 은행들의 통화 정책 완화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소비자 지출 및 상업적 수요를 개선할 것으로 보인다. 경제 전문가는 미국의 높은 인플레이션은 투자자들이 미국 중앙 은행에 대한 신뢰를 잃게 할 것이며, 이로 인해 달러가 약세로 전환되고 금이 매력적인 자산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금을 구매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최근 2년간 글로벌 금 보유량이 상당히 늘어났다. 이는 지정학적 불안, 경제적 위험, 그리고 채권 다각화의 필요성으로 인한 것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중앙은행의 금 수요가 앞으로 최소 6년간 금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인해 금 가격이 상승하고, 올해 말에는 기록적인 고점에 다다를 것으로 전망하고있다.

미국 경제가 강세를 보이며,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원들은 탄탄한 경제를 기반으로 시간을 가지고 신중하게 기준금리 조정을 할 것으로 보인다. 골드만삭스의 경제전문가는 미국 경제가 2% 넘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로 인해 투자자들의 가장 큰 관심을 받는 미국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경제의 성장으로 미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현재 달러의 강세에도 불구하고 전략가들은 달러의 약세를 예상하고 있지만, 미국의 대통령 선거와 같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잠재적인 정치적 영향이 달러에 대한 전망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지정학적 불안감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금 매입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한 경제 전문가가 언급했다. 각국 중앙은행은 앞으로 달러가 하락세를 보일 것을 예상해 달러를 대신해 금을 매입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불확실한 글로벌 금융 환경에서 통화의 가치 하락이 예상되며, 금으로 통화 가치를 유지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각국의 중앙은행은 비트코인 대신 금을 선택하고 있으며, 금의 지속적인 가치와 안정성을 그 이유로 들었다.

글로벌 경제 불안정 속에서 금이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 조 카바토니 세계 금 협회 전략가는 중국의 금 수요가 놀라운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중앙 은행들이 금을 전략적으로 축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은 금 수요가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의 금 보유량도 14개월 연속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를 포함한 각국의 중앙 은행들도 최근 800톤의 금을 매입하는 등 금 보유량을 크게 늘리고 있으며, 이는 경제적 안전과 미국 달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 금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의 상승이 연방준비제도 의원들에게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시장은 미국의 경제가 견조하다는 점을 이유로, 금리 인하가 현재 예상보다 더 늦어질 수 있는 점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또한, 미국 정부의 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와 재무부는 현재의 부채 수준이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미국이 다가올 십년 동안 직면할 수 있는 가장 큰 경제 문제 중 하나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미국의 현재 부채 수준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점에 우려를 표했다. 파월 의장은 인터뷰에서 미국의 현재 수준의 부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그는 현재의 의회가 돈을 빌려 미래 세대에 더 많은 부채를 전가하고 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 가능하지 않은 재정 정책을 만든다고 비판했다. ‘장기적으로 미국은 지속 가능하지 않은 재정 경로에 있다. 그리고 그것은 경제의 성장보다 부채가 더 빨리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사실상 미래 세대에게서 돈을 빌리고 있다. 재정 지속 가능성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이 시급하며, 빨리 하는 것이 좋다’고 언급했다.

금시세(금값) 전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는 매일 업데이트하고있다.

bnt뉴스 라이프팀 기사제보 life@bn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