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금시세(금값) 15일 0.066%↑

김진아 기자
2024-02-15 09:36:50
오늘의 금값시세 © 금시세 닷컴(현재 금값 골드바,24K,18K,14K)

금시세 닷컴 목요일인 15일 기준, 순금 한 돈은 팔때 334,000 원, 살때 360,000 원에 거래되고있다. (Gold24K-3.75g)

18K 금시세(금값)는 팔때 246,500 원, 살때 276,500 원에 거래되고 있다.

14K 금시세(금값)는 팔때 191,500 원, 살때 215,500 원에 거래되고 있다.

백금은 팔 때 134,000 원, 살 때 142,000 원에 거래할 수 있다. (Platinum-3.75g)

은은 팔 때 3,400 원, 살 때 3,700 원에 거래할 수 있다. (Silver-3.75g)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오늘의 금시세 15일 국내 금시세는 상승했다.

2024년 2월 15일 기준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15일 순금 1돈(Gold 24k-3.75g) 살때 금가격, 365,000원(VAT포함)이다.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순금 1돈(Gold 24k-3.75g) 내가 팔때 금가격, 332,000원(VAT포함)이다.

18k 금시세는 살때 제품시세를 적용하고, 팔때 244,000원이다.

14k 금시세는 살때 제품시세를 적용하고, 팔때 189,200원이다.

백금시세는 살때 160,000원이며, 팔때 123,000원이다.

은시세는 살때 4,080원이며, 팔때 3,030원이다.

오늘 금값시세, 금값 추이 ©신한은행

신한은행에 따르면 오늘 15일 09:30:41 24회차 현재 고시기준 국내 금시세(금값)는 순금(24K) 시세는 1g당 85,380.20 원으로 이전 금시세(금값)인 85,323.92원 보다 56.28원 (등락률 +0.066%) 상승했다.

한돈이 3.75g인 것을 감안하면 1돈당 320,176원이다. (Gold24k-3.75g)

국제 금시세(금값)는 이날 09시 30분 현재 기준 트로이온스(T.oz, 약31.1g)당 1,993.16 달러다.

현재 국제 금 가격은 14일 국제 금값시세대비 +0.029% 변동하여 T.oz(약31.1g)당 0.57달러(등락률 +0.029%) 상승했다.

이날 현재 시간 기준 국내 가격은 상승했고, 국제 가격은 상승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09시 30분 기준 1332.50원이다.(매매기준율, 원/달러 환율)

달러화 강세와 약세, 글로벌 중앙은행의 금 매입,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과 FOMC 회의 내용, 전쟁 등이 금 가격 변화에 큰 영향을 준다.

다음은 금시세(금값) 전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요약했다

15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도구에 따르면 미국 현지시간 2024년 3월 20일 FOMC회의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인하 할 확률을 10.5%로 전망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도구는 2024년 5월 1일에 금리를 0.25%p 인하 할 확률은 35.3%로, 0.5%p 인하 확률은 3.3%로 전망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다시 금리를 올릴 가능성까지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로 인플레이션이 다시 가속화 될 기미를 보이자 큰 충격을 주었다. 시장은 이를 예상치 못한 충격으로 받아들이며, 금리 인하 기대감이 물러가고 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언급되는 등 미국 경기의 연착륙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미 국채 금리도 상승하며 달러의 강세가 이어졌고,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시기도 더욱 가늠하기 어려워졌다.

나토 회원국들 사이에서 러시아가 나토와의 전쟁을 준비하고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독일도 ‘푸틴이 5~8년 안에 나토 동맹국을 공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독일 국방장관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추가 병력 2만 명 모집에 나섰으며, 외국인의 입대가 가능하도록 법을 개정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덴마크는 러시아의 공격 시점을 3∼5년 이내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방력을 확충하기 위해 여성 징병제 도입을 검토 중이다. 덴마크 남성의 경우 이미 징병제가 시행되어 있다. 나토 창설 국가인 영국은 러시아의 군사 활동에 대응하기 위해 최대 규모의 군사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나토 사무총장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에서 승리하면 다른 국가를 공격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상원이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이스라엘과 타이완에 대한 군사 지원을 담은 953억 달러 규모의 안보 예산 수정안을 가결했다. 이 가운데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규모는 601억 달러로, 약 80조 원에 달한다. 트럼프 전 대통령과 공화당 일부 의원들의 반대 의견에도 불구하고 상원은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하원에서의 처리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이에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하원 처리를 기다리며 미국의 지원이 평화와 안보를 증진할 것으로 기대했다. 현재 예산안에는 미국의 동맹국들에게 분명한 메시지를 전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미국 노동부가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했다.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제시한 예상치인 2.9%를 상회하는 결과를 보이며,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목표한 2%대에 진입하지 못했다. 최근 미국의 노동시장이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임금 상승 등의 현상을 보이며, 소비 지수가 상승한 결과로 보인다. 노동부는 주택 비용이 전달보다 0.6% 상승하여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미 연준의 목표치를 벗어나는 3.1%를 기록하며, 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가 더 늦어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6월 이후 3%대 초중반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으며, 백악관은 물가 상승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시장의 예상치를 넘은 물가상승률에 뉴욕 3대 지수는 1% 가량 하락했고, 미국 국채 금리도 최근들어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미국의 실물경제 전문가들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융통화정책이 너무 긴축적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크게 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미실물경제협회(NABE)가 지난달 23~30일 경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21%가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를 '너무 긴축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2010년 8월 조사 당시 22%를 기록한 이후 13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연준이 통화긴축 정책을 완화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으며, 이는 미국 경제의 상승세와 고용 시장의 강세 덕분에 경기 둔화를 맞이하기까지 시간을 벌 수 있다는 믿음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금시세(금값) 전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는 매일 업데이트하고있다.

bnt뉴스 라이프팀 기사제보 life@bn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