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뉴스토리’ 일상을 바꾼 챗GPT

한효주 기자
2025-05-16 09:40:53
시사/교양 ‘뉴스토리’ (제공: SBS)

17일 방송되는 SBS ‘뉴스토리’에서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다양한 활용법을 살펴보고, 다가올 AI 시대에 우리가 어떤 준비와 보완을 해야 하는지 함께 짚어본다.

최근 챗GPT를 활용해 사진을 지브리나 바비코어 스타일로 바꾸는 것이 유행하면서, 멀게만 느껴졌던 AI가 이제는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왔다. 챗GPT는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마치 사람처럼 텍스트나 이미지, 음성 등을 생성하는 ‘생성형 AI’로, 챗GPT 외에도 구글의 ‘제미나이’, 메타의 ‘퍼블렉시티’ 등 다양한 생성형 AI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활용해 돈을 벌거나, 자신의 사업을 확장하는 사람들도 생겨나고 있다.

“챗GPT 모르면 손해?” AI로 월 천만 원 이상 버는 시대!

경북 포항에 사는 신승우(32세) 씨는 다양한 생성형 AI를 이용해 짧은 영상을 만들어 유튜브나 SNS에 올리는 일을 전문으로 하고 있다. ‘국가별 인어왕자’, ‘국가별 첫사랑’ 등 누구나 한번 봤음 직한 영상들이 승우 씨가 작업한 것으로, 사실 그는 1년 전까지만 해도 해양 경찰 공무원으로 안정적인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 ‘AI의 발전 속도를 보니 지금 자리를 잡지 않으면 안 되겠다’라는 생각으로 과감히 직장을 그만두었고, 현재는 영상 조회 수 수익, 전자책 판매, 강의 등을 통해 예전보다 10배 이상 높은 수입을 올리는 중이다.

서울에서 디자인 전문 대행사를 운영하는 김다솔(30세) 씨도 다양한 AI를 업무에 적극적으로 도입한 덕분에 회사를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었다고 말한다. 자료 정리부터 고객 응대, 상세 페이지 기획까지 처음엔 사람이 하던 일을 이제는 AI가 처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AI 덕분에 더 많은 프로젝트를 맡을 수 있게 됐고, 올해는 작년보다 두 배 이상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솔 씨는 앞으로는 업무에 AI를 활용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간의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어 공부부터 사주까지’ 일상으로 파고든 챗GPT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회사에서, 일상에서, 학교에서 챗GPT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힘들게 학원에 가는 대신 집에서 편하게 챗GPT를 원어민 선생님으로 활용해 일본어 공부를 하는 이가 있는가 하면, 신입 변호사를 뽑는 대신 챗GPT를 업무에 활용하는 변호사도 있다. 또 얼마 전엔 역술원을 찾지 않고, 챗GPT로 사주를 보는 것이 유행하기도 했다. 과연, 챗GPT는 얼마나 사주를 잘 보는 것일까? 취재진은 같은 생년월일을 주고, 챗GPT가 풀이한 사주와 실제 역술가들이 해석한 사주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이미 시작된 AI 시대, 문제는?

그러나 이렇게 AI 활용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그에 따른 새로운 문제들도 함께 떠오르고 있다. 존재하지 않는 사실을 그럴듯하게 만들어 내는 ‘환각’ 현상부터, AI 창작물을 둘러싼 저작권과 표절 논란, 그리고 AI가 학습할 데이터를 의도적으로 왜곡해 결과에 영향을 주는 ‘데이터 독성화’ 문제까지, 지금 AI는 우리 사회에 새로운 숙제를 던지고 있다.

SBS ‘뉴스토리’는 17일 오전 8시에 방송된다.

bnt뉴스 연예팀 기사제보 star@bn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