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tal

금시세(금값) 5일 0.098%↑

김진아 기자
2024-03-05 09:28:54
오늘의 금값시세 © 금시세 닷컴(현재 금값 골드바,24K,18K,14K)

한국금거래소(KRX)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시장은 미국 경제의 부채 리스크와 금리 인하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하고, 안전자산으로서 금에 대한 선호가 커진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 금시장은 2100달러 선을 넘었고 현재는 과도하게 상승한 일부가 다시 빠져나가며 전일에 비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는 2024년 6월 12일에 금리를 0.25%p 인하 할 확률은 54.7%로, 0.5%p 인하 확률은 10.8%로 전망했다.

금시세 닷컴 화요일인 5일 기준, 순금 한 돈은 팔때 338,000 원, 살때 380,000 원에 거래되고있다. (Gold24K-3.75g)

18K 금시세(금값)는 팔때 249,000 원, 살때 280,000 원에 거래되고 있다.

14K 금시세(금값)는 팔때 194,000 원, 살때 219,000 원에 거래되고 있다.

백금은 팔 때 137,000 원, 살 때 145,000 원에 거래할 수 있다. (Platinum-3.75g)

은은 팔 때 3,600 원, 살 때 3,900 원에 거래할 수 있다. (Silver-3.75g)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오늘의 금시세 5일 국내 금시세는 상승했다.

2024년 3월 5일 기준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5일 순금 1돈(Gold 24k-3.75g) 살때 금가격, 385,000원(VAT포함)이다.

한국표준금거래소에 따르면 순금 1돈(Gold 24k-3.75g) 내가 팔때 금가격, 335,000원(VAT포함)이다.

18k 금시세는 살때 제품시세를 적용하고, 팔때 246,200원이다.

14k 금시세는 살때 제품시세를 적용하고, 팔때 190,900원이다.

백금시세는 살때 162,000원이며, 팔때 126,000원이다.

은시세는 살때 4,410원이며, 팔때 3,280원이다.

오늘 금값시세, 금값 추이 ©신한은행

신한은행에 따르면 오늘 5일 15:36:43 17회차 현재 고시기준 국내 금시세(금값)는 순금(24K) 시세는 1g당 90,829.12 원으로 이전 금시세(금값)인 90,740.63원 보다 88.49원 (등락률 +0.098%) 상승했다.

한돈이 3.75g인 것을 감안하면 1돈당 340,609원이다. (Gold24k-3.75g)

국제 금시세(금값)는 이날 15시 36분 현재 기준 트로이온스(T.oz, 약31.1g)당 2,116.39 달러다.

현재 국제 금 가격은 4일 국제 금값시세대비  -0.127% 변동하여 T.oz(약31.1g)당 2.70달러(등락률  -0.127%) 하락했다.

이날 현재 시간 기준 국내 가격은 상승했고, 국제 가격은 하락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15시 36분 기준 1335.00원이다.(매매기준율, 원/달러 환율)

달러화 강세와 약세, 글로벌 중앙은행의 금 매입,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과 FOMC 회의 내용, 전쟁 등이 금 가격 변화에 큰 영향을 준다.

다음은 금시세(금값) 전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요약했다.

5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따르면 미국 현지시간 2024년 3월 20일 FOMC회의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인하 할 확률을 3.0%로 전망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는 2024년 5월 1일에 금리를 0.25%p 인하 할 확률은 20.1%로, 0.5%p 인하 확률은 0.5%로 전망했다.

한국금거래소(KRX)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시장은 미국 경제의 부채 리스크와 금리 인하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하고, 안전자산으로서 금에 대한 선호가 커진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 금시장은 2100달러 선을 넘었고 현재는 과도하게 상승한 일부가 다시 빠져나가며 전일에 비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는 2024년 6월 12일에 금리를 0.25%p 인하 할 확률은 54.7%로, 0.5%p 인하 확률은 10.8%로 전망했다.

헤지펀드 매니저들이 일본의 경제 상황을 주목하고 있으며, 일본은행(BOJ)이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할 것으로 예상되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본의 인플레이션율이 1년 넘게 2%를 웃돌고 있어, 시장 참여자들은 일본은행의 정책 전환을 4월에 예상하고 있지만,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이러한 전환은 시기상조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다양한 헤지펀드들은 일본 시장에 대한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고, 일부 헤지펀드는 일본 은행 주식에 집중하며, 다른 펀드는 일본 국채(JGB)에 베팅하고 있다. 일본의 통화정책이 완화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어, 엔화의 약세를 예상하는 펀드도 존재한다. 이와 함께, 외국인 투자자들의 일본 주식 보유량이 늘어나고 있으며, 헤지펀드들은 일본 경제의 변화에 따른 신중한 분석과 전략적 포지셔닝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경제 성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부양책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며, 리챵 총리가 취임 업무보고를 하고 올해 경제 목표를 발표할 예정이다. 중국은 부동산 침체, 디플레이션 추세, 주식 시장 불안, 지방 정부 부채 증가 등 다양한 경제적 압력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장기적인 경제 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경제 안정화를 위해 추가적인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중국은 예산 적자 목표를 3%로 설정하고 국채 발행 등의 특별 대책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정책은 금융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경기 부양책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1월에는 건설 지출이 경제학자들의 예상치를 하회하는 0.2% 감소를 기록했다. 이전 예상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며, 작년 12월에는 성장세를 보였지만 이번에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민간 건설 지출은 1월에 소폭으로 증가했으나, 전월 대비 둔화되었다. 특히 주택 건설 투자는 계속해서 상승세를 유지했으며, 신규 단독주택 건설 프로젝트는 0.6%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주택 시장은 공급이 지연되는 상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모기지 금리는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아, 잠재 구매자들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다. 공공 건설 프로젝트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주 및 지방 정부 지출은 감소했다. 최근 미국의 부채 문제가 거론되며, 부채를 줄이려는 모습이 보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 금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의 상승이 연방준비제도 의원들에게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시장은 미국의 경제가 견조하다는 점을 이유로, 금리 인하가 현재 예상보다 더 늦어질 수 있는 점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또한, 미국 정부의 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연방준비제도와 재무부는 현재의 부채 수준이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미국이 다가올 십년 동안 직면할 수 있는 가장 큰 경제 문제 중 하나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미국의 현재 부채 수준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점에 우려를 표했다. 파월 의장은 인터뷰에서 미국의 현재 수준의 부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그는 현재의 의회가 돈을 빌려 미래 세대에 더 많은 부채를 전가하고 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 가능하지 않은 재정 정책을 만든다고 비판했다. ‘장기적으로 미국은 지속 가능하지 않은 재정 경로에 있다. 그리고 그것은 경제의 성장보다 부채가 더 빨리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사실상 미래 세대에게서 돈을 빌리고 있다. 재정 지속 가능성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이 시급하며, 빨리 하는 것이 좋다’고 언급했다.

금시세(금값) 전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는 매일 업데이트하고있다.

bnt뉴스 라이프팀 기사제보 life@bn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