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월 입주자모집공고에서 최고 200:1의 경쟁률을 기록한 장기전세주택이 민간 토지를 활용하여 공공·시민·토지주 모두에게 유익한 ‘상생주택’으로 업그레이드되어 공급된다.
서울시는 오는 2026년까지 상생주택을 포함한 장기전세주택의 7만호 공급을 목표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로써 토지주는 입지는 좋지만 각종 규제에 가로막혀 활용도가 낮았던 부지를 임대로 제공할 수 있고, 공공은 시민에게 양질의 주택을 저렴한 임차료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시민의 입장에서는 가격 부담 없이 오랜 기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다.
지난 5월 시는 민간 토지에 주택을 건설하여 장기전세주택으로 제공하는 ‘상생주택’ 사업 대상지를 공모, 총 22개소가 지원한 가운데 6월 최종 후보지 10개소를 선별했으며 대상지별로 절차를 진행 중이다.
선별된 대상지 10개소 중 3~4개소에는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시범사업으로 직접 장기전세주택을 건설할 예정이며, 현재 건축계획 등 사업 추진을 위한 용역에 착수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장기전세주택은 불안정한 주택시장에서 주변 시세 절반 수준의 안정된 전세금을 비롯, 장기 거주와 양질의 주택 등 여러 장점으로 무주택 중산층 가구가 오랜 기간 거주하며 자산을 형성할 수 있어 인기를 얻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유창수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장기전세주택이 민간과 협력하는 새로운 공급 모델로 재탄생하게 됐다. 앞으로 새로운 주택공급 모델을 지속 발굴, 업그레이드하여 자산, 세대 유형과 구성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집을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주택을 공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진주 기자 lzz422@bntnews.co.kr
라이프팀 기사제보 life@bn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