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어른들이 좋아하는 음식 상차림

2013-09-18 12:11:50
기사 이미지
[송은지 기자 / 사진 김강유 기자] 추석이나 설 등 명절을 비롯해 집안의 큰 행사가 있을 때마다 가장 고민스러운 것 중 하나는 단연 음식 상차림.

친구들을 대접할 때야 입맛을 아니 음식상 차리기가 그나마 수월하지만 어른들이 좋아하는 음식은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맛있고, 건강까지 신경 써야하기에 메뉴 선정부터 쉽지 않다. 명절이나 큰 행사를 앞두고 어른들이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인지,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면 주목해보자.

어른들의 입맛과 건강을 생각한 것은 물론 멋까지 더해 만들 수 있는 어른들이 좋아하는 음식의 대표주자 단호박 갈비찜과 수삼 연근 물김치 조리법을 공개한다.

어른들이 좋아하는 음식1. 부드러운 달콤함 단호박 갈비찜

기사 이미지
갈비찜 재료
주재료
소갈비 800g, 대추 8알, 밤 5톨, 인삼 1뿌리, 은행 10알, 통마늘 10알, 생강 1/2톨, 대파 1대, 다진마늘 2T, 통매실청 3T, 월계수잎 2장, 청주 4T, 통후추 약간, 단호박 1개
맛간장 재료 간장 8T, 물엿3T, 맛술 2T, 통후추 약간, 배 1개, 양파 1개, 물1ℓ

갈비찜 레시피

기사 이미지
1. 맛간장 재료를 냄비에 넣어 끓여준 뒤 식혀둔다.
2. 갈비는 찬물에 담가 핏물을 제거한다.
3. 냄비에 월계수잎, 청주, 후추를 넣고 끓인 물에 갈비를 10분 정도 삶아주고 찬물에 헹구어낸 다음 맛간장 2/3과 다진마늘, 매실청을 넣어 양념이 고루 베이게 재어둔다.
4. 재어둔 갈비를 냄비에 담아 반쯤 익힌 뒤 남은 맛간장과 대추, 인삼, 밤, 은행을 넣어 국물이 자작해지도록 익혀준다.
5. 단호박의 꼭지 부분을 도려낸 뒤 속을 파낸다.
6. 속을 파낸 단호박 속에 익힌 갈비를 담아 찜기에서 10~15분 정도 쪄준다.

푸드디렉터 이선영‘s 요리 TIP
기사 이미지TIP1.
갈비를 양념하기 전에 한번 데쳐내는 과정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양념이 속까지 고루 베이도록 하기 위함이니 잊지 말고 챙길 것

TIP2. 단호박 속을 파내기 전 전제렌지에 3분 정도 미리 돌려주면 속이 부드러워져 파내기가 수월하다.

TIP3. 많은 주부들이 갈비찜을 보통 압력솥을 이용해 만드는데 위험한 압력솥보다는 익히는 시간이나 과정이 비슷한 세라믹 통주물 냄비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현명한 방법.

어른들이 좋아하는 음식2. 시원한 맛이 일품 수삼 연근 물김치

기사 이미지
물김치 재료
주재료
연근 500g, 수삼 3뿌리, 사과 1/4개, 배 1/4개, 대추 4개, 청·홍고추 5개씩, 굵은 소금 4T, 식초 2T, 물 2C
육수 재료 물 6C, 감초 10조각, 다시마 5조각
양념 재료 마늘즙 2T, 배즙 1/2T, 설탕 2T, 식초 1/2C, 생강즙 조금, 소금 조금

물김치 레시피

기사 이미지
1. 육수 재료들을 넣고 끓이다가 한번 끓어오르면 불을 끄고 1시간 정도 두어 국물을 우려낸 뒤 식혀준다.
2. 연근은 식초물(식초 2T, 물2C)에 담가 아린 맛을 제거한다.
3. 볼에 물 6C와 굵은 소금을 넣은 후 연근을 30분간 절인다.
4. 사과, 배는 0.5cm로 썰고 대추는 씨를 제거하고 채썬다. 또한 청·홍고추와 잔뿌리를 제거한 수삼도 어슷썰어 준비해둔다.
5. 우려낸 육수에 양념 재료들을 넣어 물김치 국물을 만든다.
6. 밀폐용기에 모든 재료를 담은 뒤 국물을 부어준다.

푸드디렉터 이선영‘s 요리 TIP
기사 이미지TIP1.
9월은 햇연근이 나오는 시기이므로 제철재료인 연근을 물김치, 피클 등으로 활용하면 색다른 음식이 가능하다.

TIP2. 감초, 다시다물로 내는 육수의 감칠맛이 인삼에서 나는 쌉싸름한 맛을 제거하여 입맛을 더 돋굴 수 있다.

TIP3. 오래 숙성 시켜 먹는 물김치가 아니라 냉장고에 시원하게 넣어두고 바로 먹을 수 있는 즉석 건강 물김치이다.

(사진출처: bnt뉴스 DB, 냄비 및 조리용품: ICC HOME, 식기: 셀리브레이트)

bnt뉴스 기사제보 life@bntnews.co.kr

▶ 폭포 꼭대기 수영장, 무려 높이가 108m
▶ 지하철 좌석 진드기 발견, 화장실보다 오염도 높아…
▶ 모기가 피를 빠는 이유, 단순한 배고픔 아닌 '모성애'
▶ 추석 상여금 평균, 94만원… 대기업은 100만원 '훌쩍'
▶ 북극 빙하 증가, 1년 만에 60%나… '지구 온난화 맞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