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서린, 미란이, 석호필 등 본래 스타들의 영어이름과 비슷한 발음이 나는 한글을 이용해 이름을 지은 것.
특히 그는 국내에서 자신이 '김서린'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는 정보를 접하고 국내 수입사 측에 김서린의 뜻을 물어보기도 했다고.
또 2011년 내한한 세계적인 톱모델 미란다 커의 한국 이름은 '미란이'다.
내한 당시 MBC '섹션TV 연예통신'에 출연한 미란다 커는 "한국식 이름이 있다는 것을 아느냐"는 리포터의 질문에 "미란이"라고 답했다. 이어 그는 "미란이라는 한국 이름이 마음에 든다. 미란이로 불러 달라"고 덧붙여 웃음을 자아냈다.
한국식 이름 짓기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는 해외스타는 미국 드라마 '프리즌 브레이크'에서 마이클 스코필드 역을 맡았던 영국 배우 웬트워스 밀러다. 그의 이름은 본명보다 한국식 이름 '석호필'로 더 유명하다.
이어 "당시 아시아 프로모션의 첫 국가가 한국이었고 가장 따뜻하게 맞아주셨다"면서 "프리즌 브레이크가 한국에서 인기있다는 것을 알고 놀랐다"고 말했다.
또 그는 "박찬욱 감독의 한국 영화나 드라마에 출연 기회가 왔으면 좋겠다"고 했었는데 올해 개봉 예정인 박찬욱 감독의 할리우드 데뷔작 '스토커'에서 각본을 맡게 돼 자신의 바람을 이루게 됐다.
한편 한국식 별명을 가진 해외스타도 있다. 'CSI 라스베이거스'의 길 그리섬 반장은 길반장으로, 'CSI 마이애미'의 호라시오 반장은 호반장으로, '하우스'의 닥터 그레고리 하우스는 하박사로 불린다.
한경닷컴 bnt뉴스 기사 제보 star@bntnews.co.kr
▶ 스텔라, 노출 의상-안무 수정 아직…‘논란 재점화?
▶ 해품달 합방신에 네티즌 환호 "소첩의 옷고름도 여기 있사옵니다"
▶ 지드래곤-대성, 컴백 앞두고 ‘힐링캠프’ 출연 ‘왜?’
▶ [★화보] '발렌타인걸' 황정음·지나·남규리, 3가지 매력 골라봐!